The 경기패스 | 대중교통비 환급 | 혜택
2024년 7월부터 도입될 예정인 K 패스를 보완해, 경기도민을 위한 The 경기패스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1일 평균 대중교통 이용객이 271만 명이 되는 경기도 교통비 지원사업으로, K 패스보다 더 확대된 연령층, 확대된 이용범위를 제공합니다.
충전형이 아닌 환급방식의 교통비 지원으로 더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The 경기패스
알뜰교통카드는 교통비 환급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도보를 이동한 거리만큼 교통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내년 7월까지만 운영하고, 이후에는 K 패스로 개선되어 운영될 예정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경기도에서는 내년 7월부터 더 경기패스를 도입해 교통비 환급정책에 동참합니다.
K 패스를 이용하면 월 21~60회 대중교통을 이용 시 이용계층에 따라 20~53.3%의 요금을 다음달에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K 패스를 보완해서 경기도민을 위한 더 경기패스를 도입할 예정인데요.
월 횟수제한을 없애고, 대상자를 늘리는 등 K 패스의 단점을 보완한 교통비 지원사업입니다.
혜택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버스, 지하철)을 이용하면 교통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월 21회 이상을 충족하면, 이후 이용 횟수는 무제한으로 환급 금액의 한도가 없이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
경기도민을 위한 패스상품으로,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다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일반: 대중교통 요금의 20% 환급
- 청년: 30% 환급
- 저소득층: 53.3% 환급
이 중, 청년의 범위를 확대해서 만 19~39세의 청년이라면 30%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1,500원 기준으로, 일반 이용자는 1회 당 300원이 적립됩니다.
월 60회 이용 시, 18,000원까지 적립 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216,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1,500원 기준으로, 청년 이용자는 1회당 450원이 적립됩니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27,000원까지 적립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324,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1,500원 기준으로, 저소득층 이용자는 1회당 800원이 적립됩니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48,000원까지 적립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576,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더 경기패스는 월 이용횟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 이상으로 환급도 가능합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K 패스 등은 만 19세 이상의 연령 제한이 있었지만, 경기도 교통비 지원은 연령층을 확대해서 지원합니다.
위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에게는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을 통해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나이 기준은 만 13~24세의 청소년에게만 지원했지만, 경기패스가 도입되면, 교통비 지원 연령 또한 확대될 예정입니다.
2024년 7월부터는 만 6~18세 어린이, 청소년에게 교통비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용 범위
또한, 대중교통 범위도 확대해서 광역버스, 신분당선도 포함되어 예정할 계획입니다.
경기도에서 이용하는 대중교통 외에도, 경기도민이라면 전국 어디서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교통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인해 요금체계도 다르고, 넓은 이용 범위로 거리비례제가 적용되어 정기권을 구입하게 되면 이용이 복잡한데요.
정기권을 구입해 매달 충전할 필요가 없이, 환급방식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