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패스 | 케이패스 | 교통비 환급제도 | 알뜰교통카드
K 패스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이어 2024년 7월부터 도입되는 교통비 절감 사업입니다.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도보,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아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일정비율만큼 교통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노인층, 교통취약계층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더 큰 환급 혜택으로 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K 패스
알뜰교통카드는 2019년 국토교통부 도입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 후,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등 도보 이용 시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 적립과,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추가 할인 혜택을 통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플을 일일이 눌러야 하는 불편함과, 마일리지 적립이 안되는 오류, 교통취약계층 또는 노인은 이용하기 어렵다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해 2024년 7월부터 새로 도입되는 K-패스(케이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대체하는 교통비 환급 서비스입니다.
혜택
K패스를 통해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버스, 지하철)을 이용하면, 교통비의 20~53%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월 21회 이상 이용해야 하며, 최대 한도는 월 60회입니다.
교통비의 일정 비율은 이용계층에 따라 20~53%로 달라지며, 적립된 금액은 다음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용계층은 일반, 청년, 저소득층으로 나뉩니다.
일반
일반 이용자는 요금의 20%가 적립됩니다.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1,500원 기준으로, 1회 당 300원이 적립됩니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18,000원까지 적립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216,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
만 19~34세 청년은 이용요금의 30%가 적립됩니다.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1,500원을 기준으로, 1회당 450원이 적립됩니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27,000원까지 적립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324,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저소득층 이용자는 요금의 53.3%가 적립됩니다.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1,500원을 기준으로, 1회당 800원이 적립됩니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48,000원까지 적립가능하며, 1년을 기준으로 576,000원의 환급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용방법
K 패스는 교통카드 형식으로 발급될 예정이며,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적립됩니다.
신규 발급에 대해서는 현재 논의중이나, 지자체 및 카드사와 협의를 통해 추후 안내될 예정입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K 패스가 도입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K 패스 도입을 앞두고 알뜰교통카드 발급을 망설이시는 분들이라면 우선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혜택을 받아보고, K 패스 도입 후에도 이어서 혜택을 받아보길 바랍니다.
또한, 알뜰교통카드 및 K 패스의 기본 혜택 외에도 카드사별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하시고 교통비 절약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와 차이점은?
알뜰교통카드와 달라지는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알뜰교통카드는 이용요금 별, 이용계층 별로 혜택이 달라지는데요. 월 15~60회 이용하면 적립금이 환급되는 방식입니다.
K 패스는 보다 간편하게, 이용요금의 일정비율만큼 적립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 전, 후로 이동거리 계산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플을 이용하지 않아도 적립되는 만큼, 교통취약계층, 노인층 등도 어렵지 않게 절약 혜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거주지 지자체에서 사업을 운영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는 곳이 있는데요. 거주지 인증을 통해 정해진 지역에서 15회 이상 이용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 패스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에 상관없이 월 대중교통 이용횟수만 채우면 되기 때문에 더 이용하기 편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알뜰교통카드처럼 K 패스도 만 19세 미만의 청소년, 어린이는 혜택을 받아볼 수 없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기준, 청소년 요금은 1,000원이며, 어린이 요금은 550원입니다. 경기도 시내버스는 청소년 1,100원, 어린이 800원입니다.
일반 요금에 비해 청소년 및 어린이 요금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른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경기도 거주 청소년(만 13~24세)이라면 연 최대 12만원의 교통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신청기간이 정해져 있고, 거주지 인증을 통한 신청이 필요하니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문의처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K 패스 도입을 위해 협의중에 있습니다.
정부 예산안은 기존 알뜰교통카드 336억원에서 K 패스는 516억원으로 늘어난 만큼, 더 많은 이용자들이 혜택을 받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정책브리핑을 통해 관련 글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앞으로 추가되는 내용이 있으면 바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추천 글
KTX 할인 승차권 | 청소년할인 | 청년할인 | 임산부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