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 경기일정 예매 중계 개막식 공연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은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1일까지 대한민국 강원도에서 열립니다.
경기 일정 및 예매방법, 라이브 스트리밍 감상 방법, 개막식, 폐막식 일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 대회는 올림픽의 정신을 이어받아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사하는 무대가 될 것입니다.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은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1일까지 대한민국 강원도에서 열립니다.
이 대회에는 1,900명이 넘는 선수들이 참가합니다.
특혀 성별 비율은 공평하게 50대50으로 유지되어 모든 선수들에게 동등한 기회가 제공될 것입니다.
경기 종목 안내
이번 대회에서는 다양한 종목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총 15개의 종목이 열리며, 노르딕 복합경기, 루지, 봅슬레이,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피드 스케이팅, 스키점프, 스켈레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 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 하키의 종목에서 선수들의 열정과 기술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각 경기의 설명과 경기장 위치, 세부 종목에 대해서는 아래 버튼을 눌러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어요.
경기 일정
각 경기일정은 아래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경기 일정 및 일일 경기 내용에 대한 확인은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하실 수 있어요.
예매
드디어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이 시작되었는데요. 아직 티켓을 구하지 못하셨다구요?
걱정하지 마세요. 여전히 다양한 경기장에서 열리는 경기를 직접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있습니다.
특히 이번 대회의 모든 경기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니 더욱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이번 대회는 강릉(빙상 경기), 평창(노르딕 및 썰매 종목), 정선(알파인 스키 및 듀얼 모굴), 횡성(나머지 프리스타일 스키와 스노보드 경기)의 네 곳에서 펼쳐지고 있습니다.

각 종목의 경기 티켓을 예매하시려면, 강원 2024 공식 티케팅 홈페이지에 방문을 통해 예매할 수 있어요.
원하는 경기 일정과 종목을 선택한 뒤, 예매하시면 됩니다.
중계
또한, 올림픽의 흥미진진한 순간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더라도 따뜻한 방에서 경기 내용을 관람할 수도 있어요.
올림픽 홈페이지에서는 라이브스트리밍과 종목별 경기 하이라이트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누르면 라이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원하는 경기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요.
단, 중계화면을 보려면 올림픽 홈페이지 가입이 필요합니다.
개막식 공연
2024년 1월 19일 오후 강원도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 개회식이 열렸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최종구 강원 올림픽 조직위원회 대표위원장이 자리했습니다.
78개국에서 참가해 춤과 음악이 어우러진 개막식 공연을 함께했는데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남자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 윤성빈 선수의 성화 점화가 시작되어, 디지털 성화대에 불을 붙이며 대회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축하공연에는 트리플에스의 메인보컬 서다현, 루네이트의 래퍼 지은호의 듀엣으로 2024 강원 공식 주제가인 ‘We Go High’를 불렀습니다.
2024 강원 청소년동계올림픽 폐획식 일정은 2월 1일입니다.
축하 공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은 1월 27일, 28일 양일간 평창, 강릉에서 K컬처 페스티벌이 열립니다.
인기 가수와, 안무가, 국악인 등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 27일: 평창 대관령면 평창돔
사회: 김일중 아나운서
공연: 조명섭, 김희재, 박군, 양지은, 홍지윤 등의 인기 트로스가수 공연, 팝핀 현준, 국악인 박애리 부부, 하모나이즈 공연- 28일: 강릉 관동하키센터
사회: 가수 초아
공연: 다이나믹듀오, 제로베이스원, 비비지, 비오, 군조크루, 스트리트 우먼 파이터2 우승팀 베베 등
또한, 28일 평창올림픽기념관에서는 김연아, 윤성빈 등과 함께 ‘올림피언 토크콘서트’가 열립니다.
토크 콘서트는 대회 참가 선수가 아니어도 15~18세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개막식을 제외한 모든 경기와 경기 외 프로그램은 무료지만, 사전 예약 등을 통한 입장권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