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동지 날짜 뜻 일몰시간
동지는 한 해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올해 2023년 동지는 12월 22일 금요일입니다.
동지에는 가족들과 팥죽을 먹으며 건강을 기원하고 이웃과 나눠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는 겨울의 추위를 이기고, 새로운 해를 준비하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2023년 동지
동지는 한자로 겨울 동(冬), 극 지(至)를 의미하며, 한 겨울의 정점에 이르렀음을 의미합니다.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에 해당하며, 대설과 소한 사이에 위치합니다.
한 해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을 가리키며, 동지 무렵부터 추위가 점점 강해지기 시작합니다.
동지 날짜
동지는 양력으로는 12월 21일에서 23일 사이, 음력으로는 11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해당합니다.
정확한 날짜는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대체로 이 시기에 동지가 찾아옵니다.
올해 2023년 동지는 12월 22일 금요일입니다.
동지 날짜는 어떻게 정할까?
동지 날짜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는데, 이 날짜는 어떻게 정하는 걸까요?
우선, 24절기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24절기는 한 해를 24개로 나눈 것입니다. 지구가 1년동안 태양주위를 360도 도는데, 이 궤도의 각도가 15도 차이가 날 때 마다 절기 하나씩을 붙인 것입니다.
이 24절기의 기준이 되는 날이 바로 동지입니다. 태양의 고도를 기준으로 하루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날을 동지로 정한 것인데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 궤도의 15도 각도는 약 보름정도 차이가 나는데요. 하지만 실제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는 15일 주기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는 타원 모양으로 돌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절기의 날짜도 하루 이틀 정도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현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정하는 날짜를 통해 동지 날짜를 알 수 있습니다.
동지 일몰시간
겨울이 되면 해가 짧아져서 6시만 되어도 금방 어두워지는데요.
동지는 겨울 중에서도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따라서 일몰시간도 이를 수밖에 없는데요.
- 일출 시간: 07시 43분
- 일몰 시간: 17시 17분
- 낮의 길이: 9시간 33분
일출, 일몰시간은 지금까지의 역사자료들을 토대로 실제 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역과 날짜에 따른 일출, 일몰 시간은 아래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지의 낮 길이가 가장 짧다는 것은 달리 얘기하면, 동지가 지나면 서서히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 선조들은 이 날을 새로운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했습니다.
겨울의 가장 중심에 있다고 여기고, 추위를 물리쳐서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는 마음가짐인거죠.
동지의 음식

우리 선조들은 동지에 팥죽을 쑤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악귀들이 활동하는 동지의 밤을 잘 이겨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팥의 붉은 색은 양의 색으로 여겨져, 악귀를 쫓아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팥죽을 끓여 한 해 동안의 나쁜 기운을 쫗아내고 복을 끌어들리려는 의미가 담겨있었습니다.
또한, 동지 팥죽에는 새알심이 빠질 수 없는데요.
동지에 팥죽을 먹어야 비로소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먹는 사람의 나이만큼 새알심을 빚어 팥죽어 넣어 먹었습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새알심을 먹으면 한 살 먹는다고 여긴거죠.
저는 개인적으로 팥죽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요.
그래도 동지를 기념해서 팥을 먹어야 한다면, 팥이 들어간 붕어빵이나, 팥이 들어간 호빵을 먹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마무리
동지는 그저 한 해 중 하루를 가리키는 말이 아닌,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믿음, 그리고 기원이 담긴 소중한 날입니다.
올해 동지에는 가족들과 함께 따뜻한 팥죽 한 그릇으로 겨울의 추위를 물리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기분 좋은 시작을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여러분의 겨울이 따뜻하고 행복한 일들로 가득하길 바라겠습니다.